한남금북정맥..5구간
1. 산행지 : 추정재 ~ 산성고개
2. 산행 코스 : 추정재 ~ 선두산 ~ 선도산 ~ 현암삼거리 ~ 목련공원 ~ 것대산 ~ 산성고개
들머리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관정리 412-1
날머리 (산성고개,옛길어죽)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염암로 511
3. 산행 일자 : 2024년 11월 3일
정맥 마루금도 이번 겨울을 준비하며 각자의 나무들은 푸른디 푸른 나무잎 들의 수분을 방출하여
마루금에 한잎,두잎 떨어트려 제법 그럴싸한 낙엽길이 완성되어 가고 있다...
물론 낙엽속에 가려진 나무뿌리로 인해 산행 시 부상의 위험은 있지만....
계절의 일교차로 인해 성질급한 단풍들은 일찌기 자태를 뽐내기도 하며 산 마루금 등산화에
스치는 낙엽 소리가 아직까지 귀에 맴돈다...
이번 구간 역시 4~500 정도의 봉우리가 20여개 나열되어 있지만 그다지 고도차가 나지 않았고
마루금은 뚜렷하며 알바 위험이 적으며 떨어진 낙엽의 폭신한 감으로 호젓한 정맥길 가을을 느끼는 하루였다..
속리산 천왕봉에서 시작한 한남금북정맥의 구간중 제일 편안한 감을 주는 것 같다..
물론 끝까지 가봐야 되겠지만..
483봉 지나 372봉에서 내려서면 임도구간 잠깐 지나고 가드레일 시작점 우측 산정말고개 이정표..
그렇치 못할경우 임도 따라 내려서면 우측 철계단 이용 마루금을 만날수 있음..
선두산에서 내려서면 삼거리 에서 왼쪽으로 내려감..방향조심
현암묵집에서 터널방향 우측 통신탑 방향으로 올라서서 왼쪽 터널 상부로 길찾기가 힘듬.
추정리 로 넘어가는 고갯길이라 하여 주정재..
예로 부터 노나무가 많아 노나무골이라 불리기도 하였고 원래 지명은 머구미고개 였다고 한다..
남한강 수계와 금강 수계의 분수령이기도 한 이곳은 묵정(墨井)...우물빛이 검게보였다는 전설이 존재해서
먹우물,머구미로 변환되었다는 설
주유소 맞은편 모리화 뒷길 좌회전...
언덕 상부 우측 산능선 방향으로..
대항산??
유래나 지정학적 의미는 찾을수는 없지만 추정재 출발 봉우리 3개 정도 넘어서면서 왼편 방향에 위치...
묘터에 따른 임도를 따라서..
우측 가드레일 시작점에 어렴풋이 선답자들이 지난 흔적이 보이고..
여름 이곳을 못찾을 시는 60m 전방 우측 철제계단 이용 마루금으로 산행 가능..
산꼭대기인 산정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유래
계목고개
안건이 고개로 선두산,선도산이 나뉘어져 있고
이부근 마루금들은 산악오토바이로 인해 등산로가 많이 패여져 있으며
패인 부분에 낙엽들로 가득차니 한발,한발 주의해서 진행해야만 함..
청주 지역민들은 백족산과 더불어 선두산,선도산을 연계해서 산행을 자주한다고 한다.
정면 좌측이 선도산 이것네??
안건이고개..
거지티와 나박실 사이 안에 있다고 유래되었다 한다
표식없는 전위봉인 525까지 오르면 얼마 지나지 않아 만나는 선도산...
청주에서 제일 높은 산..
북쪽계속은 무심천의 주요 수계지역으로 피서철이 되면 유명한 곳이라...
"선돌" 우뚝 서 있는 큰 바위산....선돌산이 선도산으로 되었다고 하네..
현암리 방향으로
가을을 알리는 호젓한 산길...
남자는 가을을 탄다나??
현암리 방향
동동주 한잔으로 목을 축이며..
정면 청주방향 터널위로 지나가야 하기에..
우측 산능선을 곧바로 오르면 철탑을 좌회전 하여 방향을 설정하며..
동물 생태통로 터널 상부..
은행장 이씨 묘??
목련공원묘지..
청주에서 생긴 최조의 화장장..
것대산 가기전 봉우리...
토옥골고개..
토옥골고개..반사경
것대산 ..페러글라이딩 활공장..
청주시가 한 눈에 내려다 보이고 거질대산이 변화하여 것대산 이라고 한다..
것대산 봉수대..
낮에는 연기를 올리고 밤에는 불빛으로 통신한다고 한다..
평상시는 1개의 홰(봉수 신호)
적이 나타나면 2홰 , 경계에 접근하면 3홰, 경계를 침범하면 4홰, 접전 중이면 5홰....
조선시대 그 당시에는 그나마 멋진 시스템이라고 했겠지먼 인간들이 어찌??? 그대로 지켜졌을까???
대간,정맥길에 높은 위치에는 통신탑 안테나들이 대치하고 있으니...
것대산...
봉수대가 있는 산들은 조망도 좋고 높아야 조건이 맞겠지???
주변에서 가장 높은 산봉우리의 산 이라는 뜻, 흔히 우리나라 여러 산들이나 재에 많이 나타나 있다..
또한 만남의 장소로 상봉 이라는 의미도 있다고 한다...
나의 트랭글은 GPS 수신불량으로 24KM 나 나왔네...
동료 트랭글 18.4KM가 확실한 것 같다...
'정맥 산행기 > 한남금북정맥..완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남금북정맥..7구간 (1) | 2024.12.02 |
---|---|
한남금북정맥..6구간 (2) | 2024.11.18 |
한남금북정맥..4구간 (1) | 2024.10.21 |
한남금북정맥..3구간 (4) | 2024.10.07 |
한남금북정맥..2구간 (2) | 2024.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