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남정맥..1구간
1. 산행지 : 조약봉 ~ 피암목재
2. 산행 코스 : 조약봉 ~ 입봉 ~ 보룡고개 ~ 연석산 ~ 운정산(서봉) ~ 활목재 ~ 피암목재
들머리 (모래재) : 전북 진안군 부귀면 모래재로 572
날머리 (피암목재) : 전북 완주군 동상면 동상주천로 864
3. 산행 일자 : 2024년 5월 12일
금남정맥(金南正脈) ..
대한민국 남한 9정맥의 하나로 금남호남정맥이 호남정맥과 분기하는 조약봉(구 주화산)에서 시작하여
부여의 구드레 나루터까지 이어지는 도상 138km의 산줄기이다.
이 산줄기의 동(東) 사면으로 흐르는 물은 금강의 상류,(西) 사면으로 흐르는 물은 만경강을 이루며,
일부는 금강 하류로 흘러든다.
대둔산 과 부여의 부소산으로 이러지는 금강 남쪽 산줄기..
국립공원 계룡산을 비롯하여 도립공원 대둔산, 진안고원의 최고봉인 운장산
거의 명산들로만 이어져 있어 정맥꾼들에게는 이른 바, "정맥의 꽃"이라고 불리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역시나 이번 구간 또한 업,다운의 고도차가 격하게 반겨주니 저질 체력으로 힘들긴 하다..
모래재 휴계소..
모래가 많이 나와서 모래재??
공원 묘원으로 가는 길은 철망으로 출입금지...
조약봉,조약치,조약재 라고도 불리곤 했다
경사가 심하여 새걸을을 걷듯 종종걸음으로 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3번째 방문..
금남호남,호남정맥을 마치고 다시 마주했지만 낮설기만 하다..
금남정맥 방향...가~즈~아 !!!
감사합니다.
첫 봉우리 입봉..
산 모양이 삿갓 모양이라고 해서 ..산의 서쪽으로 만경강의 발원지 밤샘이 있다고 하네...
지역 이름을 따서 소태정고개,소태정재로 부르기도 한단다
보룡재..
용하고 관계가 있는 것 같다..???
모든 전설이나 야화에는 용이란 단어 나오면 9마리,또는 청룡,여의주...ㅎㅎ
부귀면 궁항리..궁항저수지
연석산...
벼루를 만드는 돌이 많이 난다고해서 붙여진 이름.
뒤의 산이 바로 운장산
금남정맥 최고봉...
아주 늠름한 자태를 자랑하며 9부능선 깔딱경사가 위엄을 자랑한다..
연석산 바로 내려서면서 보이는 운장산
운장산 바로 밑 만항재..
표지판은 힘들어서 인지 누워 있네..
8부능선의 테크 계단 ..아마 300개가 넘을 것 같은데..
코 끝이 테크계단에 닿을 정도로 헐떡이며 9부능선에는 암벽구간 ....
운장산은 중봉 1126, 동봉 1133, 서봉 1118m의 3봉우리..
운장산 서봉 철성대...
산이 높이 구름이 감돈다..
조선시대 학자 송익필 선생의 자...운장(雲長) 에서 유래 했다는 설도..
피암목재 방향으로
컨테이너 휴게소가 위치해 있고..주차장은 엄청 크다..
지리산 밤머리재 컨테이너 휴게소가 생각나기도 한다..
운동장 처럼 넓은 주차장에 차량도 없이 거저 썰렁한 분위기??
오늘은 여기까지..
에고 힘들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