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남금북정맥..11구간 졸업
1. 산행지 : 화봉육교(수레티고개) ~ 3정맥 분기점(칠장산)
2. 산행 코스 : 화봉육교 ~ 황색골산 ~ 당목리고개 ~ 도솔산 ~ 걸미고개 ~안성CC ~3정맥분기점 ~칠장사
* 들머리(화봉육교,수레티고개) : 경기도 안성시 일죽면 화봉리 산57-1
충청북도 음성군삼성면 대사리 산2-2
* 날머리(칠장사 주차장)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로 399-18
3. 산행 일자 : 2025년 2월 9일
한남금북 정맥 졸업 이라고 자연에서 아주 큰 축복을 주는 것 같다.
경기도,강원도 대설특보 내린지 2일이 지났고 특히 여기 경기도 안성지역은 또 한파 특보다...
새벽녁 들머리 도착하니 영하 17도라...
오늘 하루 종일 영하권이라고 하네..기가찬다....차에서 나가기가 싫어진다..
배낭속에 있는 비옷으로 바지위 하의로 덧 입고 무장하며 주머니에는 핫팩으로 보강 출발한다.
다행히 겨울의 차디찬 바람이 불지 않아서 체감온도는 그리 견딜만 하다..
이태껏 산행 경험상 최대의 적설량인 것 같다..
최소 30에서 최대 60정도이니 짧은 다리로 무릎위의 눈밭을 지날때면 골반,고관절에 통증이 ㅋㅋㅋㅋ
들머리 올라서는 순간부터 날머리 내리는 순간까지 쌓인 눈이 징그럽기만 하다..
속리산에서 칠장사 까지의 우여곡절로 하나의 정맥길을 졸업으로 나자신만의 성취감에 만족도를 더한다.
대간,정맥길도 산행 해본사람만 알수있는 그러한,오묘한 느낌??
화봉육교...
다행히 도로에는 눈들이 가장자리로 치워져 있었고.....
반대편 들머리 입구...
초반 들머리 부터 눈이네..
겨리고개??
지도에는 저티고개..
산마루금 정상으로 갈수록 눈이 많이 쌓인다..
눈밭을 지날떄의 발자국 소리도 적설량에 따라 다르네..
20정도면 뽀드득..
30,40 이면 뿌드드득...
50넘어가면 슈욱 뿌드드득 꾹.... 어떻게 표현을 잘 못하것네...ㅋㅋㅋ
당목리 고개를 가로지른다..
좌편 시그널 방향..
17번 국도..
이정표 방향 지하도..
적설량이 많아 짧은 다리로 진행 하기가 힘드네..
다행히 선두에서 길을 잘 뚤어주었지만..
눈길 산행은 생각보다 체력이 많이 소모되고 또한 운행 속도가 현저히 떨어진다..
도솔봉...보현봉,비로봉...
풀 한포기 마저 사랑하는 마음이 불심입니다..
나와 자연이 진리로 한 덩어리임을 아는 것이 불심입니다...
페차장??
걸미고개..안성CC..82번 도로
옛날에 척박한 곳이라 주민들이 거지가 되다시피 했고
수확한 곡식이 없어 걸미 고개라 했단다..
이러한 옛길들이 없어지고 골프장이 있으니..
향후 낮은 정맥,지맥길들은 순차적으로 개발되어 흔적없이 사라질 것 같다
나이스 썃....
CC입구 벗꽃나무 수령이 엄청나네..
봄에 벗꽃구경길에 필드나가는 기분이라..
클럽하우스 맞은편 주차장 끝으로 정맥길이 이어지고
정면에서 보면 왼쪽능선...
어마무시한 적설량이 산재 되어있는 줄도 모르고...
안성CC 카트길은 그래도 정비가 되어 눈이 녹아있네..
3정맥분기점..
백두대간 속리산 천왕봉에서 분기한 한남금북정맥이 여기까지 와서 칠장산 방향으로 한남정맥
철현산 방향으로는 금북정맥...
여기까지가 한남금북의 종착역...
칠장산을 300m 거리에두고서 다녀올수도 있었지만..
눈밭에서 체력을 방전한 탓에 그대로 칠장사 방향으로 하산..
칠장사 방향이 금북정맥이라..
다음 이곳에서 다시 금북 정맥 시작이네..
칠장사..
신라 선덕여왕때 지장율사가 창건..
고려 때 혜소국사가 이곳에 머물면서 일곱 명의 악인을 교화 하여 현인으로 만들었다고 하는데서 유래..
조선명종때 임꺽정이 여기 스님과 잠시 머물렀다 하고..
조선시대 칠장사 되쪽의 산이라 하여 여기 산을 칠장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정맥 산행기 > 한남금북정맥..완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남금북정맥..10구간 (0) | 2025.01.20 |
---|---|
한남금북정맥..9구간 (0) | 2025.01.06 |
한남금북정맥..7구간 (1) | 2024.12.02 |
한남금북정맥..6구간 (2) | 2024.11.18 |
한남금북정맥..5구간 (2) | 2024.11.04 |